본문 바로가기

STUDY/침입탐지

1장 TCP/IP 방식의 계층적 구조

1장 TCP/IP 방식의 계층적 구조

TCP/IP 프로토콜 

 - 전송과 제어라는 통신의 기본 내용을 인터넷 공간에서 구현하기 위한 구조로 등장한 개념

 - 인터넷 확장, 대역폭 확대, 운영체제의 발전으로 인해 여러 기능이 추가되었다.

 - 나중에 프로토콜 통합을 위한 OSI 프로토콜이 나왔지만 TCP/IP가 사실상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. 

 - TCP/IP 프로토콜은 계층별 명칭이 없다. 그래서 기술자마다 부르는 명칭이 조금씩 다르다.

    * 계층: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일련의 과정/단계/절차

TCP/IP 5계층 구조

    계층별 프로토콜 종류

      응용 계층             | FTP, SSH, TELNET, SMTP, DNS, DHCP, HTTP, SNMP, SSL 등

      전송 계층             | TCP, UDP

      네트워크 계층       | IP, ICMP, IGMP, ARP 등

      데이터 링크 계층   | 이더넷, PPP 등

      물리 계층             |

 

 - 하위 계층으로 내려갈수록 물리적이고 구체적 속성이 강해진다.

 - 상위계층으로 올라갈수록 논리적이고 추상적인 속성이 강해진다.

 - TCP/IP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전송하면 모두 5단계 거친다.

 - 계층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.

 - 하위계층으로 내려가면서 헤더를 추가한다.    -> 캡슐화

 - 상위계층으로 올라가면서 헤더를 제거한다.    -> 역캡슐화

    ==> 송신은 상위계층에서 하위계층으로 내려가면서 부가정보를 추가하고,

           논리적 속성으로 물리적 속성으로 전환하는 과정이다.

 

 

데이터 전송 과정

      [ 계층 ]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[ 구성 ]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[ 데이터 전송 단위 ]

   응용 계층           페이로드 + 사용자 정보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메시지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|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|

   전송 계층           페이로드 + 사용자 정보 + 포트번호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데이터그램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|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| 

 네트워크 계층       페이로드 + 사용자 정보 + 포트번호 + IP 주소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패킷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|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|

데이터링크 계층      페이로드 + 사용자 정보 + 포트번호 + IP 주소 + MAC 주소      프레임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|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|

   물리 계층           완성된 프레임을 비트 전송 단위로 전환

 

 

   * 프레임 크기가 일정한 경우 셀이라고 부름. ATM 전송 기법에서 사용하는 전송 단위